728x90
으르렁.
요번에는 CloudWatch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 해 보려고 한다.
빌드업을 잠깐 하자면
우리가 사용하는 수많은 AWS 서비스들을 사용 할 때 생각 해 봐야 하는 정보들이 몇 가지 있다.
- 얼마나 많은 공간을 사용하는가?
- 어떤 이벤트들을 사용하는가?
- 서비스의 상태는 어떠한가?
- 얼마나 많은 에러가 발생하였는가?
등등
이런 정보를 알면서 서비스를 사용하면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?
에서 시작된 것이 바로 CloudWatch이다.
# CloudWatch의 기능
1. AWS 리소스 사용의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 지원
2. 다양한 이벤트들을 수집하여 로그 파일로 저장
- 이벤트 : 특정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
- ex 1) S3 Bucket에 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삭제하는 것.
- ex 2) S3 Bucket 접근 거부 발생
- ex 3) RDS DB 접속시도
- 이러한 이벤트들의 발생 여부를 LOG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CloudeWatch를 통해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.
3. 이벤트 & 알람 설정을 통해 SNS, AWS Lambda로 전송 가능.
-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임의로 설정한 알람이 Ring Ding Ding Digiding 했을 때 notification을 전달 해 준다.
- 장점 : Log파일을 읽어보지 않아도 무슨 일이 언제 왜 일어났는지를 SNS나 Lambda로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.
# CloudeWatch 사용 가능 서비스들
- EC2
- RDS
- S3
- ELB
등등
# CloudeWatch 모니터링 종류
1. Basic Monitoring / 기본 모니터링 옵션
- 무료
- 5분 간격으로 최소의 Metrics 제공
- 디폴트로 설정 되어 있음
- 제공되는 매트릭스정보
- CPU 사용량
- 디스크 사용량
- 네크워트 I/O
2. Detailed Monitoring
- 유료
- 1분 간격으로 자세한 Metrics 제공
# CloudWatch 사용 용례 1
언제 써??
- 매일 얼마나 많은 사용자들이 모바일 앱을 사용하는지 알고 싶을 때
왜 써어??
- 특정날에 수많은 traffic이 몰릴 수 있어 병목현상이 생길 수 있음
- CloudeWatch를 확인함으로써, 이러한 병목현상 등을 유연하게 대비할 수 있음.
이득
- 매일 traffic rate과 특정 버튼의 유저 클릭 횟수를 분석하여 더 효율적인 앱개발을 할 수 있는 통찰력 얻을 수 있음
CloudWatch 사용 용례 - 2
언제 써?
- 특정 시간대에 웹서버 상태를 점검하여 비용 절감 목표일 때
왜 써어??
- 똑같은 비용을 내며 AWS 리소스들을 사용하지만 낮시간대와 밤시간대에 필요한 서버의 성능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금전적 손실이 생길 수 있음 (주로 밤시간대가 낮시간대보다 서버가 오랫동안 idle)
- 서버 사용이 현저이 낮은 밤에 서버 비용을 낮추고 서버 성능을 낮추면?
- 요런 거를 수동으로 관리하면 너무 불편하자나,
- 그래서 알람기능 사용
이득
- 알람 설정을 통하여 특정 threshold에 도달했을때 개발자에게 상황을 보고해줌으로서 서버 management를 할 수 있음
오늘도 쪼은 하루!!!
오쫀하!!!
728x90
'☁️ 뭉게뭉게 클라우드 > 🙀 rlch가 되기 위한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Cloudwatch EC2 리소스 사용 모니터링 (0) | 2022.07.27 |
---|---|
[AWS] CloudWatch_Alarm (0) | 2022.07.26 |
[AWS] S3 Bucket 암호화, 파일 업로드 (1) | 2022.07.21 |
[AWS] S3 bucket 정책 편집 (0) | 2022.07.21 |
[AWS] S3 Bucket Public Access 권한 부여 (0) | 2022.07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