😒 저 저 저 개념없는 나/🌐 네트워크

[네트워크] 서브넷, 서브네팅 | Subnet, Subnneting

우주수첩 2024. 11. 19. 14:07
728x90

# 서브넷 

  • 전체 네트워크의 특정 하위 집합
  • IP == 네트워크 주소 영역 + 호스트 주소 영역

 

# 서브네팅

  • 지정한 비트 단위를 기준으로 네트워크와 호스트를 분할하는 것.
  • 로컬 네트워크의 범위를 지정하는 방법

  • 네트워크 주소는 호스트가 할당하지 않는다
  •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호스트가 사용할 수 없다.
  • 호스트 주소 내 (;내부 네트워크)에서 자유롭게 IP할당이 가능

 

 

# 서브넷 마스크

  • 어떤 기준으로 서브넷팅(;네트워크 영역 호스트 영역을 구분)을 할지 구분하는 구분자
  • 서브넷 마스크의 비트가 1인 곳 까지 네트워크 주소

 

 

# CIDR Notation으로 표기

  • IP와 서브넷 마스크를 함께 표기하는 방법
  • IP /(서브넷마스크의 1의 개수)
  • Ex) 201.20.113.14/20 == 서브넷마스크:255.255.240.0인 IP

 

 


 

# 계산 연습

Q. 201.20.113.14의 서브넷 마스크가 255.255.255.192인 경우

Q1. CIDR 표기법을 적용하면?

Q2. 사용 가능한 호스트 개수는?

 

A1.

192 == 11000000

-> 8*3 + 2 = 26개의 비트네트워크 영역으로 사용

=> 201.20.113.14/26

 

A2.

남은 비트 개수 = 6

2^6 = 64 -2(네트워크 주소, 브로드캐스트 주소) = 62

62개의 호스트 사용 가능

 


 

Q. 192.168.0.xxx의 사설 IP대역을 가진 내부 네트워크가 존재한다.

해당 네트워크에 연결하려는 장비가 총 8개라면, 적용할 수 있는 최소 크기의 서브넷 마스크는 무엇인가?

 

1. 호스트 개수 파악

< 2^n-2(브로드캐스트, 네트워크 주소) >

n==1 : x

n==2 : 2^2-2 == 2

n==3 : 2^3-2 == 6

n==4 : 2^4-2 == 14 ✔️

 

2. 서브넷 마스크 구하기

 

1. CIDR

8*4-4 = 28 ===> 192.168.0.xxx / 28

 

2. 비트 표기

255.255.255.240

 

 

 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