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WSL 1 | WSL 2 | |
가상화 방식 | windows 시스템과 Linux 시스템 간의 번역 레이어를 통해 Linux 바이너리를 실행. 가상 머신 없이 동작하며 windows 커널에서 Linux 시스템 호출을 해석하여 처리 |
hyper-v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머신을 사용하여 Linux 커널을 실행. wls2는 전체 linux 커널을 가상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성능이 향상됨. |
성능 | 가상화의 부족으로 인해 I/O 및 네트워크 성능에서 한계 존재 가능. 파일시스템 성능 제한 |
가상머신을 사용하므로 I/O 및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. 파일시스템 성능이 크게 향상 |
커널 호환성 | windows커널과 linux 커널 사이의 호환성이 제한되어 있어 몇가지 기능이나 성능 향상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음. | linux 커널을 직접 사용하므로 더 많은 Linux 기능과 호환성을 제공. 이러한 특징은 Docker및 기타 Linux 커널에 의존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작업이 더욱 원활하게 지원 된다. |
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 및 기타 기능 | 자체적인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 및 기타 여러 기능을 갖추고 있어 Linux 시스템을 더욱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가능 | |
자동 업데이트 | windows 10의 일부 업데이트로 제공, wndows 업데이트를 통해 자동으로 업데이트 된다. |
전체적으로 Wsl2의 성능이 우수하며 Linux 시스템과 windows 시스템간의 통합이 더욱 원활해짐을 볼 수 있다.
더보기
Q. 가상머신을 사용하는데 I/O 및 네트워크가 향상되는 이유
A. 하드웨어 가상화, 가상 디바이스 드라이버, 네트워크 가상화, 자원 할당 및 관리, 스냅샷 기능 등을 통해 향상 될 수 있음.
하드웨어 가상화
- 하드웨어 가상화 : Host OS 위에서 가상머신이 동작하며 하드웨어 가상화를 통해 guest OS가 실제 하드웨어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
- 가상 디바이스 드라이버 : 호스트와 게스트 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.
- 네트워크 가상화 : VM은 자체적인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며, 호스트와 게스트간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가상화된 방식으로 처리. 이는 게스트 OS는 호스트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하여 더 효율적으로 데이터 송수신 가능.
- 자원 할당 및 관리 : 호스트 시스템의 자원을 가상적으로 나누어 사용. 각 VM은 독립적으로 자원 할당. 여러 가상머신이 동시에 실행될때도 각 가상머신이 충돌 없이 자원 사용 가능.
https://learn.microsoft.com/ko-kr/windows/wsl/compare-versions
WSL 버전 비교
WSL 2는 WSL 1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WSL 1과 같은 변환 계층이 아닌 실제 Linux 커널을 사용하므로 성능이 향상됩니다.
learn.microsoft.com
728x90
'😒 저 저 저 개념없는 나 > 🧩 OS 음오아예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SL] WSL 1 사용을 추천하는 경우 | 인턴 (0) | 2024.01.09 |
---|---|
[WSL]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: Windows Subsystem for Linux | 인턴 (0) | 2024.01.09 |
[ER] openssl/bio.h: No such file or directory (0) | 2022.05.27 |
[OS] OS 기본 설명 (0) | 2022.04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