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1. 프로젝트 파일 저장 위치 선택:
- WSL 1을 사용하면 Windows 파일 시스템에 프로젝트 파일을 저장하면 Windows에서 빠르게 액세스 가능.
- WSL 2에서는 Windows 파일 시스템의 프로젝트 파일에 더 빠르게 액세스할 수 없으며, Linux 파일 시스템에 저장해야 할 경우, WSL 1을 사용하여 OS 파일 시스템에서 더 빠른 성능을 얻을 수 있음.
2. 프로젝트 크로스 컴파일:
- Windows 및 Linux 도구를 모두 사용하여 동일한 파일에 대해 크로스 컴파일이 필요한 프로젝트.
- 현재는 WSL 1에서 Windows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Linux 파일에 액세스할 때 더 빠른 성능을 얻을 수 있음.
3. 직렬 포트 및 USB 디바이스 액세스:
- USB 디바이스 지원은 USBIPD-WIN 프로젝트를 통해 WSL 2에서 가능하지만, 직렬 포트 액세스는 WSL 2에서 지원하지 않음.
4. 메모리 요구 사항 : 캐시 발생
- WSL 2의 메모리 사용은 사용자가 사용함에 따라 증가하고 축소되며, 메모리 해제는 WSL 인스턴스가 종료되어야 함.
- 오랫동안 실행되거나 많은 파일에 액세스할 경우, WSL 2는 Windows 메모리를 캐시할 수 있음.
5. VirtualBox 및 WSL 2 사용시 까다로운 환경 세팅 필요
- VirtualBox를 사용하는 경우, 최신 버전의 VirtualBox 및 WSL 2가 필요.
6. WSL 2 네트워크 설정 시 추가적인 작업 필요
- WSL 2는 가상 머신으로 실행되어 호스트 NIC에 브리지되는 대신 가상 네트워크에 NAT 서비스를 사용함.
- 호스트 머신과 동일한 네트워크에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, WSL 2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이 필요함.
https://learn.microsoft.com/ko-kr/windows/wsl/compare-versions
728x90
'😒 저 저 저 개념없는 나 > 🧩 OS 음오아예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SL] WSL 1 VS WSL 2 차이점 알아보기 | 인턴 (0) | 2024.01.09 |
---|---|
[WSL]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: Windows Subsystem for Linux | 인턴 (0) | 2024.01.09 |
[ER] openssl/bio.h: No such file or directory (0) | 2022.05.27 |
[OS] OS 기본 설명 (0) | 2022.04.23 |